국어적인 감 상실 혹은 자기주관적 해석
게시글 주소: https://d.orbi.kr/0003755112
이걸 감이라도 해야할까요?
감보다는 문제의 보기에서 답을 명확하게 골라내는 능력이라 하는게 옳겠군요.
요즘 기출보다는 사설모의로 넘어와서 문제를 푸는데, 약간 이런 능력이 떨어진것같습니다.
추론적 사고를 요구하는 '가장 적절한것은?'의 유형에서 답이 꼭 두개가 남거나 답이 아예 없기도 합니다.
제가 생각할때는 문제 보기 이해에 대해서 주관적인 해석을 해버려 안풀리는 경우가 허다합니다.-e.g '이렇게 생각해도 맞을듯?'
예전에도 이런경우가 있었다가 어쩌다가 극복이 되버리더군요.
그런데 요즘 이 기운이 스믈스믈 올라옵니다.
'자기주관적 해석'에 대해 어떻게 대처들하시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외모 재력 사교성 다 못 가짐 멘탈 마저 약해서 크게 할 일 생기면 항불안제 껴야함 잘난게 없다
-
수학 기출 질문 0
기생집 공통 시작하려고 하는데 얼마나 걸릴까요? 그리고 지금 미적분은 아이디어 하고...
-
음 0
-
12시 30분인데 존나 부르릉거리네 하
-
연세대 입결 하락이 연세대 재정난과 관련이 있을까요? 0
전공의 사직 사태로 세브란스 천억 단위 재정난 송도 세브란스 건립 갈등 학교에 돈이...
-
이정도면 최고기록 ㄱㄴ??
-
https://youtu.be/5luevm1vVaQ?feature=shared 원서...
-
첫현거리테스트 1
-
뭐냐 이거?ㅋㅋ
-
진짜 매일매일 진학사랑 오르비 보면서 심장 졸이면서 지내다가 연대 추합 떴다는 소식...
-
공부같은것도 안했을텐데.. 이제 경쟁력이 많이 죽어서 공부나해야됨
-
여기서 5O2가 20리터쓰였나요?
-
글 하나 쓰려고 햇는데 이미 지낫노..
-
혹시 관심 있거나 교차 지원하는 분들 환영합니다 그 외에도 궁금한 거 있으면 답해드립니다
-
초딩때 이후로 4
여자랑 친구가 돼본적이 없다
-
아직도 숙제안함 하아아아
-
5119개
-
대학 1학년 보내고보니까 그거만큼 새빨간 거짓말이 없음 근데 또 내 주위는 하더라 시발
-
실제 시험에서 B2를 맞아야하는데 대학동안 영어실력 올릴 수 있겠죠...?
-
다른 스펙 평범한데 못생기면 당연히 연애 못하지… 그래서 내가 연애를 못해 ㅏ
-
첫현거리 2
-
내가 고1때 진짜 ㅈ같은 색으로 염색하다가 검은색으로 염색하고 갔는데 그러니까 반에...
-
이미친기만자들
-
첫현거리테스트 7
-
첫현거 테스트 11
-
첫현거리테스트 2
메타를바꾸고사라질게
-
드롭컷해야지 0
으헤헤
-
https://orbi.kr/00071149116https://orbi.kr/0007...
-
나 중딩때 같은 반 여자애들한테 착하게 생겼다는 소리 들음 헤헤헤.. ㅅ..ㅂ
-
입대 2달전인데 1
그냥 뛰어내릴까 ㄹㅇ 1학년 내내 연애한번 못해보고 가는구나 시팔
-
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를 정면으로 위반한 사람들을 보시려면 연세대학교 경영/경제, 사회과학, 문과대학을...
-
주 5~6일 5시간씩 vs 주3일 10시간씩
-
https://poomang.com/detail/r5bsr3
-
친척들이 내 외모만큼에 대해서는 엠바고 걸려있다는 듯이 입꾹닫하더라 ㅇㅇ
-
항상없어서 그냥 존재한다는 개념이 체감이 안됨
-
생명 도저히 못해먹겠는데 화학으로 넘어가는건 에반가요
-
외모는 크게 신경 안씀 사실 내 눈엔 그냥 예뻐보이는데 친구들이 나중에 슬쩍 왜...
-
못생김+성격+사회성 그 모든걸 말아먹은 인간쓰레기여서 연애 못하는거임
-
대충 만족해라 특히 메디컬은 오지 마셈 ㄹㅇ 배아파 죽음
-
제가 아래 쓴 글 답 좀 해주실 수 있나요?
-
연애메타 슬퍼
-
지하철에서 내옆자리는 어지간함면 비어있어서 쾌적하게다님
-
짜증나네
-
내 첫 글은 0
이 성적으로 어디까지 가능한지 묻는 글이었음 수시납치 당해서 원서도 못 썼지만
-
난 쿼티님이 내옯생 첫팔로워였음
-
운동도 하지마 씻지마 옷도 입지마 흥
-
이불 속에서 전기장판 켜고 귤 까먹으면서 애니 보는 게 섹스 맞죠?
-
착하고 공부 잘하고 어른들이 좋아하게 생겼다고 하더라 ㅇㅇ
지문을 잘 읽으면 됩니다.
죄, 죄송합니다.; 설명이 부족해서...
그 주관적인 해석이 나타나는 이유가 추론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비약이 나타나기 때문 아닐까요?
추론도 지문내용을 전제로하고, 근거로 해서 해야 하는 것인데 그렇지 않을 때 말도 안되는 비약이 나타나는 거죠.
고로 우리는 지문을 잘 읽어야 합니다.
그리고 잘 읽었는지 못 읽었는지는 본인이 알 겁니다.
문제를 풀며 고민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록 문제를 계속 응시하기 보다는 지문을 다시 읽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시험 때는 "한 번 더 읽자"고 생각하기가 쉽지 않기에 평소에 정말 연습을 많이 해야죠.
(사실 전 시험때도 두번 읽은 적이 있습니다.; 시간은 안 모자랐어요. A형이긴 합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