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Roman. [69422] · MS 2004 · 쪽지

2021-07-05 12:42:35
조회수 5,194

음악일기

게시글 주소: https://d.orbi.kr/00038382602

  오타니에 메이저리그는 푹 빠졌다. 일본인 선수치고는 이례적으로 한국에서도 많은 응원을 받는다. 사람들은 어설픈 재능으로 어설픈 실력을 구가하며 자만하는 캐릭터를 좋아하지 않는다. 압도적인 캐릭터를 원한다. 오타니는 자격이 있다.


  시대를 풍미했다 해도 그 누구든 내리막길이 있다. 인간의 누적사망률이 100%이듯, 스탯 하락률 역시 100%이다. 아무리 관리하더라도 이치로가 결국 사회인 야구에서 뛰듯, 폼은 유한하다. 농구 그 자체로 평가받는 마이클 조던도 은퇴를 번복하고 돌아온 워싱턴 위저즈 시절은 전성기와는 거리가 멀었다. 종합격투기의 효도르, 앤더슨 실바 역시 10년간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으며 각 체급을 제패했지만 은퇴를 수차례 번복하며 전적을 망쳤다. 


  전성기에서 은퇴하는 것은 너무 어렵다. 나에겐 저런 전성기가 있어본 적도 없지만 능히 짐작된다. 한껏 주가가 올랐을 때에 더 가지 않을까 싶어 파는 것도 잘 못하는데 인생 자체가 절정인 시기를 스스로 놓을 수 있을까? 그래서 우리 모두 한창 전성기일 때 잠적해버리는 드라마틱한 스토리를 원한다. 지금 소개할 인물 이야기다.


  호로비츠의 추천으로 출전한 콩쿨에서 우승하며 미국을 들끓게 했던 동구권(불가리아) 출신 피아니스트 알렉시스 바이렌베르크. 그는 이후 10년간 종적을 감췄다. 이유는 간명했다. "연주하기엔 철학이 부족해서 철학을 공부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10년도 더 지나고 나서야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미국이 최강대국으로 떠올랐지만 문화예술의 저변은 약했던 1900년대 중반. 그들은 스포츠로 맞붙었다. 스포츠 국가주의를 대표하는 태릉선수촌의 원류가 미국과 소련의 선수촌이다. 서로의 올림픽에 불참하기도 하고 겨루기도 하며 스포츠에 정치이데올로기를 입혔다. 그런 살벌하던 시기의 절정인 1958년, 소련은 자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자국의 위대한 예술가 차이코프스키의 이름을 딴 콩쿨을 개최했다. 한 청년이 수줍은 미소로 입장하여 관객들에게 인사한 뒤 온화하게, 한 음 한 음 관객에게 말을 건네듯 차이코프스키 1번 협주곡을 연주했고, 우승했다. 그의 이름은 반 클라이번. 국적은 미국이었고 미-소 양국이 뒤집어졌다. 


  양국 화합의 상징이 된 그가 너무 많은 부담을 느꼈던 탓에, 연주는 점점 힘에 부쳤고 그는 잠적하기에 이른다. 실질은, 잠적했다기보다 당했다고 보는 것이 맞는 표현이다. 사회가 필요로 했던 것은 냉전 가운데 적지에서 우승하여 미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린 애국주의, 그런 미국의 실력을 인정한 소련의 포용주의, 이를 통한 양국 관계의 진전이었을 뿐, 그 이후의 연주엔 큰 관심이 없었다.


  10년 뒤에 모습을 드러낸 바이렌베르크와 10년동안 잊힌 반클라이번. 이런 걸 보면, 은퇴에 적절한 시기란 없는 것 같다. 그저 최선을 다해 즐기되, 내려놓고 살다 보면 좋은 일도 있을 것이다. 


  은퇴 뒤 뜬금없이 복싱에 출전한 앤더슨 실바가 얼마 전 불세출의 챔피언 세자르 차베스 주니어를 복싱으로 잡아냈듯이.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