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시험의 법칙]- 출제자의 실수? VS 출제자의 의도?
게시글 주소: https://d.orbi.kr/0004679253
안녕하세요
[국어 시험의 법칙]의 저자입니다.
다음 제시된 문제를 한번 살펴볼까요?
엥...지문 없이 문제를 풀어 보라고??
국어 시험은 모든 과목 중에서 지문이 가장 많고 길다. 그만큼 지문을 의지하여 시험 문제를 많이 출제한
다. 문제 풀이를 하다가 간혹 지문 없이 답을 찾을 수 있는 경우는 있다. 하지만 이렇게 의도적으로 지문
을 생략한 문제는 처음일 것이다.
일단 발문을 분석해 출제자는 수험생에게 무엇을 요구하는지 살펴보자.
두 줄도 안 되는 문장에서 정답이 되기 위해 5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일단 A는 지문이 없으니
통과. 다음 B, 각 선지가‘자격루의 원리’와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해 보자.
‘자격루의 원리’에서‘원리’(사물의 근본이 되는 이치)의 의미가 선지 ①의 자격루 오차 보정
(부족한 부분을 보태어 바르게 함)과 관련이 있다. 즉, 부족한 부분을 보태어 바르게 하는 데(보정)
사물의 근본이 되는 이치(원리)가 필요한 것이다. ②는 자격루 표준 시계의 사용 시기와 관련된 것이며,
나머지 ③~⑤는‘자격의 원리’와 직접 관련성이 없다.
정답은 위 5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하기 때문에 한 가지 조건(B 자격루 원리)도 만족하지 못하는
선지 ②~⑤는 당연히 정답에서 제외되며 ① 만이 답이 될 여지가 있다. 그래서 지문은 물론 발문의
나머지 조건을 고려할 필요 없게 된다. 만약 ①이 다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답이 없는 문제가 된다.
생략된 지문을 확인한 실제 답도 ①이며 발문의 5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
엇..지문을 읽지 않고도 문제가 풀리네...
그렇다면 이것은...
출제자의 의도인가? VS 출제자의 실수인가?
1) 명백한 실수이다
위 문제는 결국 자격루의 원리와 관련된 답을 고르시오. 라는 단순한 문제가 되었다.
출제자가 자격루의 원리에 대한 심화학습 질문을 요구했다면, ‘자격루의 원리’와
관련된 선지가 2개 이상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안에서 다음과 같이 심화학습, 기본 학습으로 선지를 구성해야 모범적인 된 문제가 된다.
① 윗글과 관련 있는 자격루의 원리에 대한 기본 학습 질문 유형 ⇒ 오답 (매력:★★☆)
② 윗글과 관련 있는 자격루의 원리에 대한 심화학습 질문 유형 ⇒ 정답
2) 실수가 아닌 의도된 것이다
수능을 포함한 모든 과목의 객관식 시험에는 권고하는 출제지침이 있다.
출제자는 이를 반영한 것이다.
[객관식 출제 지침 中]
“한 문제의 발문에서 묻는 바는 한 가지로 하고
두 가지를 묻는 경우는 두 문제로 출제할 것을 권함”
이는 수험생의 혼란을 방지하고 평가하고자 하는 요소를 단일화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르면 위 문제의 의도는 발문 내용(자격루의 원리) 중 낱말(원리)의 뜻을 선지에 적용하는 것만을 평가하는 것이다. 지문은 단지 보조적인 수단일 뿐이다.
두 의견 다 일리가 있다. 하지만 출제자는 의도적으로 출제지침을 어겨 문제를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매력 오답이 구성되어 수험생을 혼란에 빠뜨린다.
생략된 지문을 통해 정답을 다시 확인해 보자.
이상 문제 분석을 마칩니다..
★ 국어 시험의 법칙: Rule 7 ★
오르비 지식거래소 추천 1순위 자료
긴 내용은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칼럼은 모두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분량 상 더 많은 정보를 드릴 수 없어 아쉽네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덧글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덧글과 추천은 학교수업에서 EBS에서는 결코 볼 수 없는 다음 칼럼을 또 준비하는 데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칼럼 BoX -
국어 시험의 법칙 3탄: [ 공통 선지 ]의 법칙
http://orbi.kr/0004662077
국어 시험의 법칙 2탄: [ 대립 선지 ]의 법칙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647628
국어 시험의 법칙 1탄: [ 일탈 선지 ]의 법칙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615143
찍기의 과학적인 이유
: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611157
4,800초의 시간 컨트롤: 국어 시간 부족한 이들을 위한..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639966
다른 시험, 같은 지문: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631832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하 얘들아 과탐하자...
-
마플까지하면 좋긴하겠는데 시간이. . .
-
숫자 눈으로 보이는수준이긴함 ㅋㅋ
-
인강 몇개까지 가능할 것 같음? 순공시간 최소 2~3시간 챙긴다면
-
선거파트ㅜ질문 3
선거특강 듣고 풀어도 안 늦음? 내가 개념만 들었는데 확실히 독해가 느림..
-
빡석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 존나웃긴데 이별명을 아무도 생각을안했다고?
-
전문항 해설간다 며칠 안오면 그거 만드는줄알아라
-
그 뒤로는 안전하게 지수추종 할 예정
-
스페셜리스트인 과목이 없어서 어떤 과목이 어렵게 나와도 나한테 유리한 시험이 없음...
-
한양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한양대25] [학점교류]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한양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한양대학생, 한양대...
-
25뉴런이랑 26뉴런 특별히 바뀐 게 있나요?
-
고쟁이는 내신대비용인가요?? 정시 준비하는 사람은 풀 필요가 없나요?
-
솔직히 이과면 사탐런 갈 바에 과탐2를 하는게 맞지 않냐 4
개소리 ㅈㅅ합니다 현역 노베인데 물1지1 하는 거 ㅈ되는 거 맞나요? 고2 때...
-
당일에 전문항해설 올리면 메인보내주지?
-
문제 푸는 자신이랑 효율이 너무 없게 느껴졌었음 하루에 과탐에만 4시간 넘게 쓴거...
-
오늘부터 빡공 1
물화생 남은 거 다 끝내고 뉴런 인강 다 듣고... 뉴런 미적 들어가고... 해야할 게 산더미다!!
-
투투과목 잘못 했다가 서울대떨어지면 연고대까지 쭈루룩 떨어질까봐 불안해서 한개만...
-
주식 공부법 2
미주갤 개념글 정독하기
-
나는 스페셜리스트보다 올라운더 스타일이라 잘하는 과목이 없어서 과외하기 애매함...
-
ㅈㄱㄴ
-
ㄹㅇㅋㅋ
-
둘중 어디가는게 더 좋을까요 둘 다 낮반 예상이고 지금 김현우T 라이브 하나 듣고...
-
지금 기획중인거 6
생2 비킬러 필수 / 중요 / 지엽으로 나누어서 단원별로 개념 정리하고 OX퀴즈 잔뜩 넣을거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애니프사 추천좀 6
아씨 애니프사 별로안좋아하는데 내가 글쓰면 댓글없는거 ㅈ같아서 걍 하려고함 댓글중에 아무거나로 함
-
정신병 on 2
내일까지 픽업인데 1트럭만 지르면 나올거같음 어캄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미리 하나 장만해두세요~~...
-
일반과 가도 취업 생각하면 긴게 아님
-
저런
-
페메 나만 존나어렵냐 수1 지수로그함수그래프 푸는데 인강 다 듣고 복습도 돌렸는데...
-
수잘싶광울 6
-
흐흐 ..
-
학벌이 문제일까 3
사교육시장에서 경력 거의없이 과외를 구하기에는 낮은 학벌과 성적인 것 같구나 자꾸만...
-
다녀보신 분 계신가요? 후기 궁금해요
-
현재 강남대성 기숙 s관 (전 강대 s관,스관/현 강대 퀘타)에 이미 돈 다 납부한...
-
ㅋㅋ
-
끄아아앙
-
초반에 방향 잡는게 너무 어려워서 1시간동안 막다른길 찔러보다가 갑자기 찌릿하고...
-
수1, 수2, 선택과목 마음먹고 내면 고1 내용 중 어렵거나 특이한 부분을 반드시...
-
맞팔하실분 3
다들 점심은 드셨나유
-
아...안나오면... 울거에요...
-
나쁜 의도없이 ㄹㅇ 궁금함
-
일단 7월입대니 직전까지 과외로땡기면 대충 1200그리고 smp500에 박을거니...
-
절반 정도 지난 시점이라 한번 들릅니다. 끝나면 25개 대학정도 될 거 같아요....
-
아열등하다 0
Ssibal
-
비율 좋고 훤칠하고 잘생기심 심지어 목소리까지 잘생겼음
-
앞으로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이 책 쓰고있는데요 괜찮더라구요. 다만 기출이 많아 연습이 좀 힘들다는점.. 그리고 내가 이렇게 한다고 감이 느는지 그것을 잘모르겠다는점.. 그냥 감 테스트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고있네요ㅠㅠ.. 지문선택자체는 탁월한데말이죠
저 이거 보고 소름 돋았어요. 유형별로 문제를 어떻게 해석하느냐 보고 다시 문제로 돌아가서 풀어보니ㅁ맞더라구요 ㄷㄷㄷ 다음에 헷갈리면 이방법도 써봐야겠군요 감사합니다
정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