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립적 어근이란 무엇인가
게시글 주소: https://d.orbi.kr/00063971661
비자립적 어근이란 무엇일까?
전통적으로 국내 국어학계에서 형태론을 다룰 때 ‘어근'은 실질적 의미를 지니는 나타내는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풀이되어 왔고 ‘어근'을 그 어근의 품사와 의미를 확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규칙 어근과 불규칙 어근으로 나눠 왔다.
24 수특에서 아래와 같은 문제가 나왔는데 정답이 5번이 아니라 3번이라고 한다.
EBS에서 5번을 오답으로 본 이유는 ‘비자립적 어근'이 ‘비자립적'이기만 한 어근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도 보이다시피 대부분 5번도 정답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Yoon33이란 분이 아주 좋은 추론을 하셨다. “비자립적 어근하고 용언 어간하고 좀 따로보라는 의도 아닌가 싶음"이라고 하셨는데 실제로 용언의 어간과 비자립적 어근은 구별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아까 “‘어근'을 그 어근의 품사와 의미를 확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규칙 어근과 불규칙 어근으로 나눠 왔다.”라고 하였는데 용언의 어간은 그 어간만 보고서 그것의 품사와 의미를 확정할 수 있다. 무슨 소리냐면 용언의 어간이 어근과 일치할 경우 그 어간만 보면 그 어근이 동사인지 형용사인지 알 수 있단 것이다. ‘덮’과 ‘접', ‘꺾' 모두 동사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특에 비자립적 어근의 예시로 나온 ‘보슬비'를 보면 ‘보슬' 자체만 놓고 보면 얘가 명사인지 부사인지 확정을 할 수가 없다. 명사거나 부사면 단독으로 쓰여야 하는데 그러지도 않고 용언이라면 뒤에 ‘-다'와 같은 어미가 당연히 와야 할 건데 그렇지도 않기 때문이다. 이게 뭔 뜻이냐면 ‘보슬' 같은 말들은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반드시 복합어의 어근으로만 쓰이기에 어근의 품사와 의미를 확정할 수 없다는 거다.
이는 용언의 어간과는 다른 것으로, 일반적으로 불규칙적 어근은 첩어를 이루거나(하늘하늘), 뒤에 명사가 오거나(보슬+비), 파생 접사가 와야(아름+-답-, 깨끗+-하-, 등) 한다. 그러나 용언의 어간 뒤에는 어미라는 것이 올 수 있어 이들의 품사를 확정할 수가 있다. 즉 접사나 어미 혹은 다른 단어가 다 붙을 수 있는 용언의 어간과는 성격이 다른 것이다.
즉 단독으로 쓰이는 예가 없는 것은 용언의 어간과 비자립적 어근은 ‘비자립성'이라는 특징이라고 볼 수 있지만 더 깊이 들어가면 의미와 품사를 확정할 수 있느냐 없느냐까지 가야 하는 문제이다.
참고로 ‘불규칙적 어근'이란 용어는 고영근(1972)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로 ‘어떤 품사와도 구조상의 공통성을 갖기 어려운 불규칙성을 띤 어근’으로 규정하였는데 아무래도 고영근 교수가 학교문법에 큰 영향을 미쳤기에 이 의미를 그대로 가져간 게 아닌가 싶다.
아래는 고영근, 남기심의 표준국어문법론의 일부다
“규칙적인 어근은 어근의 품사가 분명하고 다른 말과 자유롭게 통합될 수 있으나, 불규칙적 어근은 품사가 명백하지 않은 어근을 가리키는데 다른 말과의 통합이 제약되어 있다. ‘집, 신, 높’ 은 품 사가 명확하고 조사나 어미가 자유롭게 붙으므로 규치적인 어근이며, 이는 단어형성소에 속한다.
예) 아름답다 – 사람답다, 신사답다 / 따뜻하다 – 가난하다
‘아름답다’의 ‘아름’은 ‘사람답다, 신사답다’ 의 ‘사람, 신사’와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으나, 자립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격조사가 붙을 수 없어 품사를 분명히 할 수 없다. 이러한 어근을 불규칙적 어근 이라고 한다. 불규칙적 어근은 제한된 접미사와만 통합되는데 이런 형태소를 불구형태소(unique morpheme)라고 한다.”
개인적으로 ‘불규칙적 어근' 내지는 ‘불완전 어근' 또는 ‘특수 어근'이라고 하면 될 것을 굳이 ‘비자립적 어근'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학생들을 혼동시키는 게 EBS가 할 짓인가 싶긴 하다. 누가 봐도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마냥 자립성만으로 구별해야 되는 것처럼 보이는데 말이다.
결론: 비자립적 어근이란 ‘불규칙적 어근'의 이칭이며 원래는 ‘품사가 명백하지 않은 어근’을 뜻하는 말이다. 따라서 용언의 어간에는 어미가 붙어 쓰인다는 점에서 품사를 확정할 수 있기에 비자립적 어근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술 마실 친구가 나날이 주는 중 아 기구하군아
-
1년동안 쓸수 있는 E 기운의 총량이 있단말이야 근데 E들은 그걸 거의 무제한으로...
-
머리가 얼얼하네 0
진짜 희망 버리고 있었는데 이렇게 추합 많이도니 갑자기 희망회로 돌아간다
-
맨앞vs 맨뒤(사물함하나더쓸수 있는곳)
-
물론 안썻지만
-
등차수열이 아니면 저렇게 2n을 n으로 막 치환하면 안 되는거죠? 정석적인 풀이는...
-
마인드가 썩어빠졌는데
-
네
-
출근길 겹쳐서 최소한 7시반에 나와야 하아아아아아 1교시만 아니면 돼
-
헤헤헤 0
헤헤 헤
-
네이버나 구글로 회원가입하려해도 전화번호랑 이메일 적는란때문에 한개의 전화번호에...
-
힘들다 시발….. 그분믿고잇었는데 뭐 그분선택이니까 사실 상관없는건데 으아…. 슬프다
-
저능부엉이씨 5
보다도 대학 못 간 초저능인은 에휴 내얘기 맞아
-
시대 s2 0
미적반 들을려고 하는데 s2에서 수1,2,미적한다고 하더료요 김성호쌤이나을까요...
-
0212 1
25/02/12 집중되든 안되든 일단 책상에 앉아있어보는데 집중 못할때는 거의...
-
아무리 요즘 의대생들 하도 학원판에 많다 듣긴했는데 그래도 면접 정도는 불러줄만...
-
합격예측은 ㅍㅇㄹ팀 Agent K님(feat.고대) 1
낙지 3칸, 고속성장 노란색, 텔그 30~40%로 고대 합격했습니다! 원서 마감...
-
불안감때문에 우울하긴 했어도 그게 막 힘들진 않았음 그건 사람 안만나도 되잖아...
-
ㅈㄱㄴ 미적 생지 언매함
-
어까지 내려가는거임? 17연심리 재림가능성 있는거임?
-
와 지리네 3
치대간 지인 놀꺼 다 놀면서 갑자기 의대 정시로 가버리네 ㅅ발 역시 머리는 좋고봐야하노 ㅋㅋ
-
친추해요...
-
고고
-
설대 점공에 성대식(자연) 670점이고 고대 학부(교과) 736점이신 분이 있는데...
-
오늘만 20명 늘어남 이게 웬 허상이냐 ㅋㅋㅋ………
-
라는 다짐을 항상 하지만 지키긴 어렵다
-
ㅠㅠ?
-
몇관으로 넣어야 정배임
-
가진거랑 이룬게 적지않아보이는데 우울 호소 ㅅㅂ이
-
기하 선택하고 싶은데 표점 때문에 미적하는 사람 있나요 4
순수 재미는 기하가 Goat인데 선배들이 기하는 하지 말라함..
-
오전에 독서 한지문 풀고가서 15분이면 될거다..
-
난 왜 못할까요 1
수학을 잘하는 것도 아니고 국어를 잘하는 것도 아니고 과탐을 잘하는것도 아니고...
-
인피니티 워부터 쭉 안 봄...
-
그냥 비참함
-
레어 팔아요 3
정시파이터,사나이클럽 팔아요
-
2024 수능 14146(화작 미적 생명 지학) 2025 수능 22115(화작 미적...
-
김재훈: 정말 작품 이해에 치중된 사람, 들으면 머릿속에!가 뜸 유대종: 문풀에...
-
다른 과목은 다 대체 선생님 찾았는데.. 내신 생명만은 대체할 분이 없는 것...
-
개발자!!
-
청포도랑 귤잇으
-
2차부터가 문제엿다 인싸애들: 선배 저희 술게임 알려주세요!!!!! 사건의 시작.
-
맥주 한캔 남은거 있네 10
흐흐흐.... 시원하게 먹어야지
-
목표변경
-
우정잉 인프피 분석 영상인가 이거 봤는데 지금 너무 소름끼침 사귀기도 전에 이거 안...
-
1. 언매 개념은 한 적 있음 (올인원 2번 정도) 2. 완벽한 암기는 안됨 3....
-
제가 강평 커리 타고 있거든요? 근데 논리학 지문만 나오면 많이 틀리고고나중에 로행...
-
온라인 접수 할 때.. 뭐 준비해여하나요? ㅈㄴ 복잡함…
-
삼수생 새터가도됨??? 10
아싸찐따삼수생이 3일동안 인싸현역조졸무리에 어떻게끼어있지
자립적으로 품사가 결정되지 않아서 비자립적 어근인거구나 ㅜㅜ
감사합니다 좋은 거 알아 가네요
이거진짜좋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