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르코프스키 [1332076] · MS 2024 · 쪽지

2024-09-25 20:00:11
조회수 2,149

독서를 위한 논리학, 이것만은 알고 읽자

게시글 주소: https://d.orbi.kr/00069283851

안녕하세요 독서 칼럼 쓰는 타르코프스키입니다.


논리학, 또는 논증 이론이 수능 국어에서 중요한 건 누구나 알지만, 학교에서 제대로 공부해 본 적은 많이 없을 것입니다. 아래 텍스트를 읽어보고, 논리학의 최소한을 챙겨보세요.

정확히 와닿지 않는 개념은 GPT, 구글, 나무위키에 검색해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얻어갈 개념 5>

-퍼스의 가추법, 툴민의 비공식 논증, 페렐만의 보편청중, 동기화된 추론, 인식론적 부정의


(연습문제 1)


논증(argument)은 그 구조와 추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유형은 고유한 특성과 적용 영역을 지닌다. 연역 논증(deductive argument)은 전제의 진실성이 결론의 진실성을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형태로, 전제가 참일 경우 결론이 거짓일 수 없는 연역적 타당성(deductive validity)을 갖는다. 전제가 참인 연역적으로 타당한 논증은 건전(sound)하다고 일컬어지며, 이러한 논증은 새로운 전제를 추가하더라도 결론의 타당성이 영향받지 않는 단조성(monotonicity)을 특징으로 한다. 귀납 논증(inductive argument)은 특정 사례의 관찰을 토대로 일반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결론의 개연성을 지지하나 이를 보장하지는 못하며, 전제를 초월하는 확대적(ampliative) 성격을 띤다. 귀납적 추론은 과학적 탐구와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지만, 흄(Hume)이 제기한 귀납의 문제(problem of induction)와 같은 철학적 난제에 직면한다. 가추 논증(abductive argument) 또는 최선의 설명에 대한 추론은 관찰된 사실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가설을 형성하는 것으로, 진리를 보장하지는 않으나 과학, 법률, 의학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추는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에 의해 독자적인 추론 형태로 소개되었으며, 설명력과 진리 간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검토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추 논증(analogical argument)은 두 대상 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속성의 공유를 추론하는 것으로, 유사성의 관련성과 범위에 따라 논증의 강도가 결정되며, 부적절한 비교로 인한 오류로 약화될 수 있다. 오류적 논증(fallacious argument)은 겉보기에는 타당해 보이나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는 기만적 논증으로, 애매어 사용의 오류(equivocation), 순환 논증(begging the question), 권위에의 호소(appeal to authority), 인신공격(ad hominem), 잘못된 유추(faulty analogy) 등을 식별하는 능력은 비판적 사고에 필수적이다. 오류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으로부터 시작되어 논증 실천의 이해와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다양한 논증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이해는 효과적인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논증의 강점을 평가하며, 건전한 추론을 전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역 논증이 필연적 진리 보존을 통해 확실성을 제공하는 반면, 귀납 및 가추 논증은 지식을 확장하지만 일정한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논증의 타당성, 건전성, 잠재적 결함을 탐구하는 것은 철학, 논리학, 인지과학의 중심적 과제로, 인간 추론의 복잡성과 지식 탐구의 본질을 반영한다. 연역 논증은 모든 가능 세계에서 전제가 참이면 결론도 참이어야 한다는 필연적 진리 보존에 기반한다. 귀납 논증은 통계적 빈도와 관찰에 근거하여 관찰된 것에서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의 일반화를 시도하나, 결론의 진리를 보장하지는 못한다. 귀납의 문제는 자연의 균일성 가정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과거 관찰이 미래 발생을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을 야기한다. 가추적 추론은 관찰된 현상에 대한 설명을 제안하지만, 최선의 설명이 반드시 진실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유추적 추론은 유추의 타당성과 추론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천 영역과 목표 영역 간의 유사성을 신중하게 평가해야 한다. 오류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는 추론상의 결함을 도입하여 논증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담론에서 이를 식별하고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합하면, 이러한 논증 유형과 그 기반 원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엄밀한 분석, 지식의 진보에 필수적이다.

<선택지>
- 귀납 논증은 전제의 진실성이 결론의 진실성을 필연적으로 보장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가추 논증은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법률과 의학 분야에서는 활용되지 않는다.
- 오류적 논증은 논리적인 결함 없이도 효과적인 설득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비판적 사고에서 제외될 수 있다.
- 유추 논증은 범위와 관련성이 적은 유사성을 기반으로 추론을 형성하여 논증의 강도를 약화시킨다.
- 연역 논증은 새로운 전제를 추가함으로써 결론의 타당성이 흔들릴 수 있는 단조적이지 않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

<힌트>
- 지문에서는 귀납 논증이 결론의 진실성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명시되어 있음.
- 지문에서는 가추 논증이 과학, 법률, 의학 분야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언급됨.
- 지문에서는 오류적 논증이 논리적인 결함을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됨.
- 지문에서는 유추 논증의 강도가 관련성과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고 명시되어 있음.
- 지문에서 연역 논증은 새로운 전제를 추가해도 결론의 타당성이 유지된다고 설명함.

<선택지>
- 연역 논증은 전제의 진실성이 결론의 진실성을 필연적으로 수반하지만, 새로운 전제를 추가할 경우 결론의 타당성이 영향을 받는 비단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귀납 논증은 특정 사례의 관찰을 토대로 일반화를 시도하며, 결론의 개연성을 보장하고 전제를 초월하지 않는 축소적 성격을 띤다.
- 가추 논증은 찰스 샌더스 퍼스에 의해 독자적인 추론 형태로 소개되었으며, 관찰된 사실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가설을 형성하여 진리를 보장한다.
- 유추 논증은 두 대상 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속성의 공유를 추론하는 것으로, 유사성의 관련성과 범위에 상관없이 항상 강력한 논증을 제공한다.
- 오류적 논증은 겉보기에는 타당해 보이나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는 기만적 논증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현대에 이르러서야 연구되기 시작했다.
<힌트>
- 연역 논증은 단조성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새로운 전제를 추가하더라도 결론의 타당성이 영향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 귀납 논증은 결론의 개연성을 지지하나 보장하지는 못하며, 전제를 초월하는 확대적 성격을 띤다.
- 가추 논증은 진리를 보장하지는 않으며, 단지 관찰된 사실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가설을 형성한다.
- 유추 논증의 강도는 유사성의 관련성과 범위에 따라 결정되며, 부적절한 비교로 인해 약화될 수 있다.
- 오류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으로부터 시작되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선택지>
- 연역 논증은 귀납 논증이나 가추 논증과 달리 전제가 참일 경우 결론의 진실성이 항상 보장되므로, 과학적 탐구보다는 수학적 증명과 같이 확실성을 요구하는 영역에서 주로 활용된다.
- 귀납 논증은 전제가 참일 경우 결론이 거짓일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연역 논증에 비해 설득력이 떨어지지만, 과학적 발견이나 일상적인 추론에서 새로운 지식을 확장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가추 논증은 관찰된 사실에 대한 가장 단순하고 명확한 설명을 채택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과학적 이론 평가에서 간결성과 설명력을 중시하는 오컴의 면도날 원칙에 부합한다.
- 유추 논증은 두 대상 간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추론의 한 형태로, 유사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논증의 설득력 또한 비례하여 증가한다.
- 오류적 논증은 논리적 사고의 오류나 인지적 편향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저해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힌트>
- 연역 논증은 확실성을 제공하지만, 귀납 및 가추 논증은 과학적 탐구를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지식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문은 연역 논증이 과학적 탐구에서 사용되지 않는다고 명시하지 않는다.
- 귀납 논증은 결론의 진리를 보장하지 않지만, 연역 논증에 비해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귀납 논증은 여전히 유용한 추론 형태이다.
- 가추 논증은 설명력을 중시하지만, 가장 단순하고 명확한 설명만을 채택하는 것은 아니다. 지문에서는 '가장 잘 설명하는 가설'을 언급하며, 이는 단순성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 유추 논증에서 유사성의 정도와 논증의 설득력은 비례 관계가 아닐 수 있다. 유사성의 관련성이 더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 오류적 논증은 논리적 사고의 오류뿐만 아니라 심리적, 감정적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지문은 인지적 편향만을 오류적 논증의 원인으로 단정하지 않는다.



(연습문제 2)


논증(argumentation)은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목표와 배경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지닌 다면적 현상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대립적(adversarial) 혹은 협력적(cooperative) 성격을 띨 수 있다. **대립적 논증(adversarial argumentation)**은 상대방을 압도하려는 경쟁 또는 전투의 형태로 교류를 바라보며, 주로 공격성과 폭력이라는 남성 중심적 가치와 연관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인식론적 단점—과도한 공격성이 진리 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과 더불어 도덕적, 정치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특히 여성과 소외계층과 같이 공격적 행위가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이들을 배제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반면 **협력적 논증(cooperative argumentation)**은 상호 이해를 강조하는 양육적, 협동적 활동으로 인식되며, 전통적으로 여성적 가치와 연관된다. 일부 이론가들은 대립성이 논증의 본질적이고 바람직한 요소라고 주장하면서, 비판적 참여에 필요한 최소한의 대립성과 유해한 과도한 공격성을 구분한다. 대립적 논증과 협력적 논증 간의 이분법은 실제보다는 겉보기에 더 두드러질 수 있으며, 이는 상황에 따라 다른 논증 접근법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더불어 논증은 입장에 대한 찬반 이유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신념을 개선하고 지식을 증진하는 **인식적 실천(epistemic practice)**으로 작용한다. 논증에 참여하는 것은 더 정확한 신념을 획득하고 이해를 도모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기존 신념을 확인하는 정보를 선호하는 경향—과 **동기화된 추론(motivated reasoning)**—핵심 신념과 정체성을 보호하기 위해 모순된 증거를 거부하는 현상—으로 인해 논증이 실제로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종종 **메아리 방(echo chambers)**—자신의 견해를 반영하는 정보와 의견만을 접하는 환경—에 머물러 기존 신념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일부 논증은 겉보기에 설득력이 있어 보이지만 논리적으로는 타당하지 않으며, 개인들은 자신의 고착된 입장을 지지하는 오류적 추론을 식별하는 데 능숙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논증에 참여하는 것은 오히려 잘못된 결론을 설득함으로써 신념의 정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논증은 또한 신념과 의도를 조율하여 **합의(consensus)**에 도달하고 사회적 조정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행동을 조율할 메커니즘이 필요하며, 논증은 관점을 조율하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합의 지향적 논증은 상당한 배경적 합의를 필요로 하며, 깊은 불일치나 갈등 상황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때로 억압의 패턴을 무심코 영속화하거나 소외된 집단을 배제할 수 있는데, 합의가 때때로 현상 유지를 강화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논증은 회피와 공격성 사이의 중간 대응을 제공하여 **갈등 관리(conflict management)**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폭력 대신 합리적 담론을 통해 분쟁을 해결할 수 있게 하여, 물리적 힘 대신 언어를 사용하는 평화주의의 한 형태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증만으로는 갈등을 관리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분쟁을 해결하기보다는 권력을 행사하는 데 사용될 위험이 있다.

<선택지>
- 협력적 논증은 주로 남성적 가치를 반영하며, 여성과 소외계층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힌트>
- 지문에서는 협력적 논증이 전통적으로 여성적 가치와 연관된다고 언급되었으나, 남성적 가치와의 연관성은 언급되지 않음.

<선택지>
- 논증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은 반드시 자신의 신념을 개선하고 지식을 증진시킨다.
<힌트>
- 지문에서는 논증이 신념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하지만, 확증 편향과 동기화된 추론으로 실패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고 명시됨.

<선택지>
- 대립적 논증은 논리적 타당성이 높아, 개인들의 잘못된 신념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힌트>
- 지문에서는 대립적 논증이 과도한 공격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논리적 타당성이 낮아 신념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언급됨.

<선택지>
- 논증은 모든 갈등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합의를 이끌어내어 사회적 조정을 완벽하게 촉진한다.
<힌트>
- 지문에서는 깊은 불일치나 갈등 상황에서는 논증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됨.

<선택지>
- 메아리 방은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여 개인의 신념을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환경을 제공한다.
<힌트>
- 지문에서는 메아리 방이 자신의 견해만을 반영하여 기존 신념을 강화한다고 설명됨.

<선택지>
-협력적 논증은 대립적 논증과 달리 여성과 소외계층을 배제하지 않으므로, 도덕적, 정치적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완벽한 논증 방식이다.
-대립적 논증은 본질적으로 유해하고 비생산적이므로, 모든 형태의 논증에서 배제되어야 하며 협력적 논증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확증 편향과 동기화된 추론은 논증의 인식적 가치를 완전히 무효화하므로, 논증은 지식 증진의 수단으로 더 이상 고려될 수 없다.
-합의 지향적 논증은 모든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갈등 해결 방식이므로, 깊은 불일치나 갈등 상황에서도 우선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논증은 갈등 관리의 유일한 도구이며, 모든 형태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완벽한 해결책이므로 다른 갈등 해결 방식은 불필요하다.
<힌트>
-협력적 논증도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완벽한 논증 방식이라고 단정 짓는 것은 부적절하다. 지문에서는 협력적 논증의 장점을 언급하지만 그것이 완벽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대립적 논증이 완전히 배제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과도한 일반화이다. 지문에서는 일부 이론가들이 대립성을 논증의 본질적이고 바람직한 요소로 보며, 최소한의 대립성이 필요하다고 언급한다.
-확증 편향과 동기화된 추론이 논증의 효과를 제한할 수 있지만, 이것이 논증의 인식적 가치를 완전히 무효화한다고 보는 것은 과도한 해석이다. 지문은 여전히 논증이 지식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합의 지향적 논증이 모든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이라는 주장은 지문의 내용과 모순된다. 지문은 깊은 불일치나 갈등 상황에서는 합의 지향적 논증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명시한다.
-논증이 갈등 관리의 유일한 도구라는 주장은 과도한 일반화이다. 지문은 논증이 갈등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논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한다.

<선택지>
- 대립적 논증은 주로 여성적 가치와 연관되며, 협력적 논증은 남성 중심적 가치와 연관된다.
- 협력적 논증은 상호 이해를 강조하지만, 확증 편향이나 동기화된 추론으로 인해 신념 개선에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 논증은 인식적 실천으로서 신념을 개선하고 지식을 증진하는 기능을 하지만,  현실에서는 메아리 방 효과로 인해 기존 신념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논증은 사회적 조정을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합의에 도달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 갈등 관리 도구로서 논증은 폭력 대신 합리적인 담론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데 항상 효과적이다.

<힌트>
- 지문에서는 대립적 논증을 남성 중심적 가치, 협력적 논증을 여성적 가치와 연관 짓고 있다.
- 협력적 논증은 상호 이해를 강조한다는 내용은 지문과 일치하지만, 확증 편향이나 동기화된 추론은 협력적 논증이 아닌 논증 일반에 해당하는 함정이다.
- 논증은 인식적 실천으로서 신념을 개선하고 지식을 증진하는 기능을 하고 메아리 방 효과는  기존 신념을 강화할 수 있다는 내용은 지문과 일치하지만,  메아리 방 효과가 논증의 인식적 실천 기능을 무력화한다는 논리는 지문에서 찾을 수 없다.
- 지문에서는 논증을 합의에 도달하는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유일한 방법이라고 단정하지 않았다.
- 지문에서는 논증이 갈등 관리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하였지만,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라고 명시하고 있다.



(연습문제 3)


논증 이론(argumentation theory)은 20세기에 독자적인 연구 분야로 구체화되었으며, 이는 일상적 추론의 증진을 목표로 한 초기의 노력에서 비롯되었다. 19세기 말 프레게(Frege), 힐베르트(Hilbert), 러셀(Russell) 등이 주도한 수리논리학(mathematical logic)의 등장으로 수학적 추론을 위한 형식체계에 초점이 맞춰졌고, 이로 인해 일상적 논증 분석에는 부적합한 상황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괴리를 인식한 수잔 스테빙(Susan Stebbing)은 1939년 저서 《목적을 가진 사고》(Thinking to Some Purpose)에서 일상적 논증에 논리적 도구를 적용하는 선구적 시도를 했으나, 그녀의 공헌은 후속 논증 이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스티븐 툴민(Stephen Toulmin)의 1958년 저서 《논증의 용도》(The Uses of Argument)는 중요한 논증이 형식적 연역 논리로 완전히 표현될 수 있다는 기존 가정에 도전했다. 툴민은 '비형식 논리'(informal logic)로 불리는 대안적 접근법을 제시하여 일상생활의 논증 사례를 다루고 분석했으며, 연역 논리만으로는 현실 세계 논증의 복잡성과 실용적 뉘앙스를 포착하기에 불충분함을 인정했다. 찰스 햄블린(Charles Hamblin)의 1970년 저서 《궤변》(Fallacies)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접근법을 따라 변증법적, 대화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논리적 오류 연구를 부활시켰다. 동시에 셰임 페렐만(Chaïm Perelman)과 루시 올브레츠-티테카(Lucie Olbrechts-Tyteca)는 '새로운 수사학'(New Rhetoric)을 개발하여 논증의 설득적 요소와 청중 의존성을 부각시켰다. 그들은 보편 청중과 특정 청중의 구분을 도입했는데, 여기서 보편 청중은 정당한 논증의 공유된 기준을 나타내는 규범적 이상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기초적 공헌을 토대로 프란스 반 에메렌(Frans van Eemeren)과 롭 그로오텐더스트(Rob Grootendorst)는 화용-대화론적(pragma-dialectical) 접근법을 개발했다. 이는 논증을 특정 의사소통 목표를 지닌 상호작용적 언어 활동 내의 복잡한 발화 행위로 개념화한다. 화용-대화론은 논증적 담론이 주로 의견 차이의 합리적 해결을 지향하며, 기술적 요소와 규범적 요소를 결합하여 논증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도구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더글러스 월튼(Douglas Walton)은 논증 스킴(argument schemes) 접근법을 개척하여 형식 논리 도구를 확장함으로써 전통적 논리 체계가 다루지 않는 더 넓은 범위의 논증을 포괄했다. 랄프 존슨(Ralph Johnson)과 앤서니 블레어(Anthony Blair)는 추론, 논증, 수사학 연구 센터(Centre for Research in Reasoning, Argumentation, and Rhetoric)를 설립하고 학술지 《비형식 논리》(Informal Logic)를 창간하여 논증 이론 연구와 학문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선택지>
- 19세기 말 프레게와 힐베르트는 논증 이론의 초석을 다지며, 일상적 논증 분석을 위한 형식적 도구를 개발하였다.
- 스테빙의 《목적을 가진 사고》는 논증 이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후속 학자들이 그녀의 이론을 광범위하게 채택하였다.
- 툴민의 비형식 논리는 연역 논리의 한계를 보완하며, 현실 세계의 복잡한 논증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하였다.
- 햄블린의 《궤변》은 변증법적 접근을 통해 논리적 오류의 중요성을 재조명하였으며,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과 일치한다.
- 반 에메렌과 그로오텐더스트는 화용-대화론적 접근법을 통해 논증적 담론이 기술적 요소만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하였다.

<힌트>
- 지문에서는 프레게와 힐베르트가 수리논리학을 주도했지만, 논증 이론의 초석을 다졌다는 내용은 없음.
- 스테빙의 공헌이 후속 이론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명시되어 있음.
- 지문에 따르면 툴민의 비형식 논리는 현실 세계 논증의 복잡성을 포착하는 데 기여했다고 함.
- 햄블린의 《궤변》이 변증법적 접근을 통해 논리적 오류를 재조명한 것은 맞지만, 아리스토텔레스와의 일치를 지문에서 직접 언급하지 않음.
- 반 에메렌과 그로오텐더스트는 화용-대화론적 접근법이 논증적 담론이 다양한 요소를 필요로 한다고 주장했지, 기술적 요소만을 필요로 한다고 하지 않음.


<선택지>
- 수리논리학의 발전은 일상적 논증 분석에 적합한 도구를 제공하여 논증 이론의 발전을 가속화했으나, 스테빙의 공헌은 이러한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 툴민의 '비형식 논리' 접근법은 연역 논리의 한계를 인정하고 현실 세계 논증의 복잡성을 포착하려 했지만, 결과적으로 형식 논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역설적 효과를 낳았다.
- 페렐만과 올브레츠-티테카의 '새로운 수사학'은 논증의 설득적 요소를 강조했으나, 이는 햄블린의 변증법적 접근과 대립되어 논증 이론의 통합적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 화용-대화론적 접근법은 논증을 복잡한 발화 행위로 개념화했지만, 이는 월튼의 논증 스킴 접근법과 상충되어 논증 이론 내에서 분열을 야기했다.
- 존슨과 블레어의 연구 센터 설립과 학술지 창간은 논증 이론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으나, 이로 인해 논증 연구가 지나치게 학술화되어 일상적 추론 증진이라는 초기 목표에서 멀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힌트>
- 수리논리학의 발전은 오히려 일상적 논증 분석에 부적합한 상황을 초래했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스테빙의 공헌이 후속 논증 이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점은 일치하나, 수리논리학과 연관 짓는 것은 부적절하다.
- 툴민의 접근법이 연역 논리의 한계를 인정했다는 점은 맞지만, 이것이 형식 논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는 내용은 지문에 없으며, 오히려 현실 세계 논증의 복잡성을 다루기 위해 대안적 접근법을 제시했다고 언급되어 있다.
- 페렐만과 올브레츠-티테카의 접근이 햄블린의 접근과 대립되었다거나 통합적 발전을 저해했다는 내용은 지문에 없다. 오히려 이러한 다양한 접근법들이 논증 연구를 풍부하게 만들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 화용-대화론적 접근법과 월튼의 논증 스킴 접근법이 상충되었다거나 분열을 야기했다는 내용은 지문에 없다. 오히려 이러한 다양한 접근법들이 논증 연구의 발전에 기여했다고 설명되어 있다.
- 존슨과 블레어의 활동이 논증 이론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은 맞지만, 이로 인해 초기 목표에서 멀어졌다는 내용은 지문에 없다. 오히려 이러한 발전들이 일상 담론의 복잡성을 분석하기 위한 포괄적인 틀을 제공했다고 언급되어 있다.



<선택지>
- 19세기 말, 수리논리학의 발전은 일상적 논증 분석에 적합한 도구를 제공하여 논증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
- 수잔 스테빙은 일상적 논증 분석에 형식 논리를 적용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비판하며, 대안으로 비형식 논리 체계를 제시했다.
- 찰스 햄블린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전통을 계승하여 논증에서 청중의 중요성을 경시하고 논리적 형식의 객관성을 강조했다.
- 셰임 페렐만과 루시 올브레츠-티테카는 새로운 수사학을 통해 보편 청중 개념을 제시하며, 이는 특정 문화나 시대적 맥락에 의존하는 상대적인 기준을 의미한다.
- 프란스 반 에메렌과 롭 그로오텐더스트의 화용-대화론적 접근법은 논증을 이상적인 담론 상황에서의 합리적 추론 과정으로 간주한다.

<힌트>
- 19세기 말 수리논리학의 발전은 일상적 논증 분석에는 부적합한 형식체계를 강조하여 오히려 괴리를 초래했다.
- 수잔 스테빙은 일상적 논증에 논리적 도구를 적용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비형식 논리 체계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비형식 논리를 제시한 것은 스티븐 툴민이다.
- 찰스 햄블린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접근법을 따라 변증법적, 대화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논리적 형식의 객관성만을 강조하지 않았다.
- 셰임 페렐만과 루시 올브레츠-티테카가 제시한 보편 청중은 특정 문화나 시대적 맥락에 의존하는 상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정당한 논증의 공유된 기준을 나타내는 규범적 이상이다.
- 프란스 반 에메렌과 롭 그로오텐더스트의 화용-대화론적 접근법은 논증을 이상적인 담론 상황이 아닌 특정 의사소통 목표를 지닌 상호작용적 언어 활동 내의 복잡한 발화 행위로 본다.




(연습문제 4)


논증(argumentation)은 인식론적 부정의(epistemic injustice), 덕성 논증(virtuous argumentation), 감정의 역할, 문화 간 시각, 그리고 인터넷이 논증적 관행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차원을 아우르는 다면적 현상이다. 인식론적 부정의는 성별, 인종, 계급 등 사회적 범주와 관련된 편견으로 인해 개인이 지식인으로서 불공정하게 취급될 때 발생하며, 이러한 맥락에서 증언적 부정의(testimonial injustice)는 이와 같은 편견에 근거하여 개인의 신뢰성이 부당하게 훼손될 때 나타난다. 논증적 부정의(argumentative injustice)는 이 개념을 논증 영역으로 확장시켜, 불공정한 대우가 지식 공유를 왜곡하고 권력 차이를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덕성 논증 이론은 양질의 논증이 논증자의 덕성에 달려 있다고 주장하며, 논증의 구조적 특성보다는 개방성, 겸손, 경청 의지와 같은 성향을 강조한다. 따라서 결함 있는 논증은 오만과 편협함 같은 악덕에서 비롯되며, 이 접근법은 보다 건설적이고 공평한 논증적 관행을 촉진하고자 한다. 더불어, 감정은 논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논증이 순수하게 이성적이고 감정이 배제된 활동이라는 관념에 도전한다. 이성(reason)과 감정(emotion) 간의 엄격한 이분법은 거부되며, 정서적 반응이 논증의 형성과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인정된다. 감정은 논증적 교류를 저해할 수도 있고 향상시킬 수도 있는데, 공격성과 적대감을 유발할 수 있는 반면 협력을 촉진하고 중요한 전제에 주의를 집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노는 간과되었던 관련 정보를 부각시키는 인식론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문화 간 시각은 다양한 사회에서 논증적 관행의 변이를 드러내며, 논증의 보편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통점이 존재하지만, 문화적 요인이 논증 수행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인터넷의 출현은 논증적 관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논증에 참여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새로운 매체와 환경을 도입했다. 온라인 플랫폼은 다양한 어포던스(affordances)를 제공하여 논증적 상호작용의 본질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초기의 낙관론은 인터넷이 공론장을 민주화하여 평등한 참여와 자유로운 아이디어 교환을 가능케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허위정보의 확산, 양극화 심화, 지적 오만의 증가와 같은 도전과제들이 대두되었다. 온라인 논증은 현재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논증 마이닝(argument mining) 등의 방법을 통해 자주 연구되지만, 이것이 논증적 담론의 질을 향상시켰는지 혹은 저하시켰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논증은 지식 공유, 사회 정의, 다양한 맥락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한 함의를 지닌 다면적 측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풍부한 연구 분야로 남아있다. 더욱이, 논증에서 감정의 영향은 단순한 기술적 관찰에 그치지 않고, 감정이 논증 과정에서 어떻게 관여하고 조절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규범적 질문을 제기한다. 덕성 논증 이론은 논증자의 성격과 성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유망한 접근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덕성 논증이 인식론적 부정의와 억압적 논증 사용의 위험을 완전히 완화할 수 있는지는, 특히 권력 역학과 관련된 더 광범위한 구조적 요인들을 고려할 때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선택지>
- 논증적 부정의는 개인의 지식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논증의 질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 덕성 논증 이론은 논증의 구조적 특성이 논증의 질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강조하며, 오직 논증자의 덕성만을 중요시한다.
- 인터넷의 출현은 논증적 담론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켰으며, 특히 허위정보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게 되었다.
- 감정은 논증적 관행에서 전혀 중요한 요소가 아니며, 논증은 순수하게 이성적이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 문화 간 시각의 차이는 논증의 보편성을 입증하며, 이는 다양한 사회에서 동일한 논증적 관행이 활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힌트>
- 지문에서는 논증적 부정의가 지식 공유를 왜곡하고 권력 차이를 강화한다고 설명하고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주장한 선택지가 맞지 않습니다.
- 덕성 논증 이론은 논증자의 덕성을 강조하지만, 지문에서 구조적 특성을 전혀 배제한다고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당합니다.
- 지문에서는 인터넷이 허위정보의 확산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고 언급하였으므로, 허위정보가 효과적으로 통제되었다는 선택지는 틀렸습니다.
- 감정이 논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문에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감정이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선택지는 부당합니다.
- 지문에서는 문화 간 시각의 차이가 논증의 보편성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언급하였기 때문에, 보편성을 입증한다고 하는 선택지는 부당합니다.


<선택지>
- 인식론적 부정의는 사회적 범주와 관련된 편견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개인의 지식인으로서의 지위를 강화하고 권력 구조를 평등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한다.
- 덕성 논증 이론은 논증의 질이 주로 논증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며, 논증자의 개인적 성향보다는 논리적 일관성과 증거의 강도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 감정은 논증 과정에서 항상 부정적인 역할을 하며, 이성적이고 객관적인 논증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므로 논증에서 완전히 배제되어야 한다.
- 문화 간 연구 결과는 논증적 관행이 모든 사회에서 동일하며, 문화적 요인이 논증 수행 방식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한 온라인 논증은 항상 공론장을 민주화하고 평등한 참여를 보장하며, 허위정보의 확산이나 양극화와 같은 부정적 영향 없이 논증적 담론의 질을 일관되게 향상시켰다.
<힌트>
- 인식론적 부정의는 개인의 신뢰성을 부당하게 훼손하고 권력 차이를 강화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으므로, 이를 강화하고 평등하게 만든다는 주장은 부적절하다.
- 덕성 논증 이론은 논증의 구조적 특성보다 논증자의 덕성과 성향을 강조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 설명은 지문의 내용과 모순된다.
- 감정이 논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때로는 협력을 촉진하고 중요한 전제에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으므로, 항상 부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주장은 부적절하다.
- 문화 간 연구 결과가 논증적 관행의 변이를 드러내며, 문화적 요인이 논증 수행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 설명은 지문의 내용과 모순된다.
- 인터넷이 논증적 관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초기의 낙관론과 함께 허위정보 확산, 양극화 심화 등의 도전과제가 언급되어 있으며, 온라인 논증의 영향에 대해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 주장은 부적절하다.


<선택지>
- 인식론적 부정의는 주로 온라인 환경에서 발생하며, 이는 익명성이 보장되는 인터넷 공간의 특징 때문이다.
- 덕성 논증 이론에 따르면, 논증의 구조적 결함은 논증자의 악덕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이는 논증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이다.
- 감정은 논증적 교류를 방해하는 요소로, 공격성을 유발하고 객관적인 판단을 저해하여 논증의 합리성을 훼손한다.
- 문화 간 시각은 논증적 관행의 보편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논증의 규칙과 기준을 탐구한다.
-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해 온라인 플랫폼은 허위정보 확산과 양극화 심화 등 예상치 못한 문제점을 야기하며 초기의 낙관적인 전망을 뒤엎었다.

<힌트>
- 지문은 인식론적 부정의의 발생 원인을 온라인 환경에 국 한정하지 않고, 성별, 인종, 계급 등 사회적 범주와 관련된 편견을 언급한다.
- 덕성 논증 이론은 논증의 구조적 특성보다는 개방성, 겸손, 경청 의지와 같은 논증자의 성향을 강조하며, 논증의 타당성 평가 기준을 제시하지 않는다.
- 지문은 감정이 논증적 교류를 저해할 수도 있지만, 협력을 촉진하고 중요한 전제에 주의를 집중시키는 등 향상시킬 수도 있다고 언급한다.
- 지문은 문화 간 시각이 논증적 관행의 변이를 드러내며 논증의 보편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고 언급한다.
- 지문은 온라인 플랫폼이 논증적 상호작용의 본질을 변화시킬 가능성을 제시하며, 허위정보 확산과 양극화 심화는 초기의 낙관론에 대한 반증으로 제시된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