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성한중경외건이 압축논술 특강
게시글 주소: https://d.orbi.kr/00069375834
압축이 아닌 압착적 인문논술
상위권 대학 논술을 단 3회로 압축하는 기회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46/l
"문장 하나, 단어 하나, 심지어 문장부호 하나에조차도, 이 논술 답안은 ‘누가’ 채점할 것이기 때문에 이 문장보다는 저 문장이 출제의도에 맞겠다, 이 답안에서 이런 내용까지 논리적 추론을 기대했기 때문에 이 조사를 빼는 것보다 넣는 게 더 정확한 답이겠구나……라는 식으로 판단한다는 겁니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나 학생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판단 과정의 알고리즘을 도식적으로 풀이한 것이지, 실제로 이런 식으로 언제나 의식적으로 판단하면서 답안을 써 내려 간다는 뜻은 아닙니다. 학생에게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논술을 준비할 시간이 있다면 논술 공부하는 과정에서 이런 판단을 수십 번, 아니 수백 번은 해야 할 겁니다. 그런데 이걸 한 달이 조금 넘는 시간 안에 압착적으로 해 버린다면 아마 뇌에 과부하가 걸려 미쳐 버리고 말 겁니다. 아니면 뇌가 파업을 해버리는 통에 멍해져서 아예 아무것도 판단할 수 없는 상태가 되거나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는 연기를 썩 잘하는 배우에 비유하곤 합니다. 물론 배우는 연기에 앞서 캐릭터를 분석하고 지문에 있는 대사 한 마디 몸짓 한 동작조차도 그 의미를 꼼꼼히 재확인합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대사 한 마디, 몸짓 한 동작을 할 때마다 이 캐릭터는 어떤 성격이고 이 동작은 어떤 효과를 주어야 한다는 걸 머릿속으로 계산하면서 연기를 한다면 아마 아주 부자연스럽고 뻣뻣한 연기가 될 겁니다. 그보다는 그 캐릭터에 ‘몰입’한다고 하죠. 그냥 그 인물이 되는 겁니다. 내가 이미 그 인물이기 때문에 그걸 일일이 다 의식적으로 머릿속에 떠올릴 필요가 없어지는 거죠. 그리고 그 인물‘로서’ 직관적으로 말하고 몸을 움직이는 거지요. 물론 그러려면 연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충분히 그 인물을 분석해서 자기 안에 소화하고 있어야만 하겠지만요. 그렇게 내가 아닌 어떤 인격에 ‘몰입’해서 내 안으로 ‘소화’해내는 과정을 저는 ‘내면화’라고 표현합니다. 이 내면화를 압착 강의에서는 단시간 내에 소화하고자 합니다. 이것이 가능한 조건은 난생 처음 논술을 하지만 평소 국어 비문학 독해에 대한 능숙도가 웬만큼 있거나, 과거에 논술을 조금이라도 해 본 경험입니다. 이러한 조건만 있다면 제가 전하는 말들을 통해 대학 출제자가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논술적으로 더 중요한 필수 내용은 무엇인지, 그것을 위해 무엇을 미친 듯이 강박적으로 반복 연습해야 하는지 알게 될 겁니다. 학생이 대단히 영특해야 할 필요도 없습니다. 솔까, 바보 아니면 이해됩니다.
‘논제의 숨겨진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제시문에서 어떤 내용만을 읽어야 하는가, 그리고 그 출제자(채점자)가 이 답안에서 추가적으로 요구하거나 허용하는 내용은 무엇인가’를 흔히 그 논제(문제)의 ‘컨셉’이라고 합니다. 컨셉은 모든 내용(정보)를 빠짐없이 물어보는 게 아니죠.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는 무엇이고, 이 주제를 담은 범주는 어디까지이고, 이 범주에서 서술해야 하는 키워드는 무엇과 무엇이다,를 알아먹고 서술하는 거예요.
다시 강조하지만 논술 답안을 구성하는 준거는 그 논제와 제시문이 만들어 내는 컨셉입니다. 이 컨셉을 알아먹고 쓰면 답이고, 이 컨셉을 모르면 꽝입니다. 물론 꽝이어도 논술점수 70점은 나옵니다. 그러나 결단코 합격은 불가능합니다.
여러분의 귀중한 이 시간(시점)에 “수능 직후에 있을 논술을 위해 늦게나마 이것만은 꼭 알려 주겠어”, “현행 논술에서 요구하는 바를 분명히 각인시켜 주겠어”, “단시간 내에 합격 답안을 쓰기 위한 역할 연기(roll-playing)를 집중적으로 연습시키겠어” 가 이 압착 강의의 의도이자 목표입니다.
<고려대, 성균관대 서강대 경희대 건국대 한양대 숙명여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대비>
고려대 - 구체적 대안 쓰기, 활용성을 높이는 평기의 기준
건국대 - 인문개념을 활용한 자료해석 논제, 문학 제시문을 적용해석하는 논제
<Stoney Roy 압착강의 추천 대상>
논술경험이 있으나 여전히 논술 기본기가 부족하다 여기는 학생
6장의 논술 원서를 넣었으나 스스로를 비하하고 의심하는 학생
상위 8개 대학을 노리고 있으나 논술을 꼼꼼하게 해 본 적이 없는 논술 문맹러
논술실력으로는 꿀리지 않으나 좀 더 높은 수준의 답안구성을 하고픈 논술 욕심꾸러기
<고려대, 성균관대 서강대 경희대 건국대 한양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대비>
*마지막 3회차의 첨삭에서 대면과 비대면의 차이가 있습니다.
*강의 상세 내용 및 수강 예약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46/l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과가면 고등학교에서 사회나 역사는 어떤걸 배우나요? 0
컴공과 생각해서 이과가도 사회나 역사를 배우긴 할텐데 어떤걸 배우는지 궁금합니다....
-
고등학교 물리동아리 개설하려고 하는데 활동 좀 추천해주세요!!! 실험도...
-
흠...여기가?
-
안녕하세요 강남3구에 거주하는 중3입니다 고등학교 일반고 두개 고려하는데 , 둘다...
-
최근 몇년간 큰 변동은 없다는 가정하에
-
기숙사고다니는 예비고1인데요 코로나때문에 비포스쿨을 온라인에서 한주 하다가 어제...
-
현재 중3이고 조금 있으면 고등학교 원서 써야하는데 대학 잘 보내는 경기도...
-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 생각은 뭐 하향평준화된다 이런소리많은데 이미 우리나라...
-
지방 일반고들 사이에서도 수준 차이가 존재하네요... 5
우리 학교가 꼴지는 아니었네;;
-
애가 운동을좋아하고(육상 전남권2위/운동전문고 스카웃제의/한달무료훈련서비스...
-
혹시 고등학교 자퇴하신분 있나요 학교부적응 이런쪽말고 0
질문 좀 할께요 ㅠㅠ
-
지금 특성화고 다니는 고2인데 적성에 안맞다는건 고1 4월부터 알았는데 엄마때문에...
-
고등학교 내신 0
내신 1점대 나오려면 중간고사를 다 1등급 찍어야 하나요? 하나 2면?
-
생각나는건 마산고 진해고 제물포고 경기고 경복고 정도...?수도공고 경기공고...
-
전 대단해 봐야 수원,화성,오산 분들 기준으로 '병ㅈ고, 화ㅅ고' 정도일줄 알았는데...
-
1. 지역에서 알아주는 명문사립여고 비교과 커리큘럼 진짜 알차고 학생부 잘써쥰다고...
-
예전에도 글 여러차례 올렸었지만 목동권 모 학교 수석으로 입학해서 지금까지 ㅈ같이...
-
중3으로 돌아가신다면 어디고등학교를 지원하실건가요 ? 본인 가내신 200만점에...
-
작년에 현역으로 들어갔고 서포카 중 한 학교에 다니고 있는 흔한 공대생입니다. 다름...
-
3개월 8
안녕하세요 우연하게 오르비를 알고 눈팅만 해오던 중3입니다. 대단하신분들도 많고...
-
고등학교진학... 10
지방(부산)에 사는 중3 여학생입니다. 요즘따라 진로에 대해서 생각도 많아지고,...
-
방금 바란다-로 글쌌던 사람입니다. 일단 그런 말투로 글싸질러서 죄송해요. 너무...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