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거또 [613724]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25-02-01 20:08:55
조회수 656

[칼럼] 독서 왜 어려울까? 약간의 국어 교육학 개론을 곁들인

게시글 주소: https://d.orbi.kr/00071719031

국어 점수를 잘 받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잘 푸는 것이죠하지만 쉽지 않습니다왜냐하면 잘 읽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잘 읽고 잘 푼다언뜻 쉬워 보이지만 우리는 이 잘 읽고 잘 푸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그렇다면 잘 읽고 잘 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수능국어의 정수인 기출을 푸는 것입니다



국어는 기출로 시작해서 기출로 끝나는 과목입니다

하지만 시중의 수많은 기출문제집에도 우리는 모두 1등급이 아닙니다

분명 기출을 풀고 해설을 잘 읽으면 성적이 오를 것 같지만 성적은 쉽게 오르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그 이유는 기출을 풀고 해설을 읽은 뒤 그냥 끝내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냥 끝내지 않는다면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답을 드리기에 앞서 우리가 기출 지문을 읽는 습관을 되돌아봅시다



우리는 글을 단어 → 문장 → 문단 → 글 전체로 차근차근 확대시키며 읽어 나갑니다.

단어에서 다음 단어로 문장에서 다음 문장으로 문단에서 다음 문단으로 흐름에 따라 읽어가는 것입니다

작은 단위에서 큰 단위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이러한 모델을 상향식 모델이라고 합니다.

이는 주로 글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며 어린아이나 언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훈련 방법입니다.



반면, ‘하향식 읽기 모형은 머리에 글 전체의 구조를 먼저 잡고글을 읽어나가는 방식입니다.

추리 문제를 풀 때 우리는 가끔 표를 그리거나 구조를 먼저 잡고 풀고는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렇게 배웠기 때문입니다

많은 추리 문제를 풀어보면서 스스로 익혔든아니면 누군가의 해설을 보았든 말이죠.



수능 지문도 마찬가지입니다

숫자가 많은 경제 지문을 읽을 때 표로 시각화를 하게 되면 더 쉽게 이해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시를 읽기에 앞서 연을 구분하거나 <보기>를 참조하면 더 쉽게 이해가 될 때가 있겠지요.



이렇듯 주어진 지문에서 얻은 내용 뿐만 아니라 나의 경험이나 지식정보 등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한 인지적 틀 혹은 개념적 구조를 먼저 잡아두고 글을 읽으며 그 틀을 채워나가는 방법을 하향식 읽기 모형이라고 합니다여기서 인지적 틀 혹은 개념적 구조를 우리는 스키마(Scheme)’라고 부릅니다




자 그러면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서우리가 국어 기출을 풀고 해설을 보고 나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바로 이 하향식 읽기 모형을 활용하기 위한 구조 혹은 틀을 만들어야 합니다.

여기서 바로 1등급과 1등급 아닌 학생이 갈리게 되는 것입니다.



평가원은 지난 수십 년간 일관되게 지문 서술 방식과 선지 구성 방식을 사용해 왔습니다.

1등급의 학생들은 이 방식들을 구조 혹은 틀로 만들어 머리 속에 넣어두고 글을 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문을 읽은 후 문제를 풀 때 그때그때 꺼내서 판단하거나 확인이 필요한 부분으로 돌아갑니다.

이러한 방식은 문제를 푸는 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글을 여러 번 읽으면서 오는 혼란을 줄여줍니다.



하지만 1등급이 아닌 학생들은 이러한 틀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문을 그저 읽은 후 문제로 가서 마구잡이로 왔다 갔다하며 시간을 낭비합니다.



결국 이러한 독해 방식의 차이가 성적의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수능 기출문제를 통해 이 패턴을 학습하고 체득하여 수능 국어 공부의 기틀을 다져야 합니다



EBS 연계나 실전 모의고사도 중요하지만결국 수능 국어는 기출에서 발견되는 두 방식들을 체화해야 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수능 국어 기출 분석은 이러한 사고와 태도를 얻어가는 과정입니다.


상향식 읽기와 하향식 읽기의 비교


과정

영역

상향식 읽기

하향식 읽기

글의 의미 소재

글에 내재

글에서 독자가 구성

단어와 이해의 관계

단어 인지는 이해에 필수

단어를 몰라도 이해 가능

정보 파악의 단서

단어음성-문자 단서 사용

의미문법적 단서 사용

읽기 진행 방향

해독어휘통사담화

담화통사어휘지식해독

읽기 구성 방식

문자를 소리로소리를 의미로

의미의 예상과 확인

강조하는 언어 단위

문자문자와 음성의 연결단어

문장문단

읽기 학습

단어인지 기능을 숙달하여 학습

유의미한 활동을 통해 학습

지도의 중점

단어의 정확한 인지

글의 의미 이해

학생 평가의 중점

하위기능의 숙달

글에서 얻은 정보의 종류와 양



출처 노명완 외(2012), <국어교육학개론>, 심지원, 283







비문학 교재의 서론파트를 뜯어왔습니다...


가볍게 읽어보셨으면해요



국어교육학 개론의 일부에서 착안한 내용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