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교시 국어) 4,800초의 시간 컨트롤!!!
게시글 주소: https://d.orbi.kr/0006457074
자신의 일생을 결정할 수능 1교시 국어 시간!!!
생각만 해도 긴장이 된다. 낯설고 적막한 시험장의 적막감이 그 긴장감을 더 한다.
그 긴장감으로 인해 수험생의 뇌는 다음과 같은 패닉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마인드 컨트롤 능력도 중요하다.
시험 한 달 전부터는 학교를 가지 않는 주말시간에 동일한 아침시간에 모의고사를 통해 어떠한 환경에도 심리를 컨트롤하는 연습도 필요하겠다.
노는 시간은 참 짧은 데...수능 국어 시간은 순식간이다.
교실 낡은 스피커에서 나오는‘시험 종료 10분 전입니다’에 많은 수험생이 화들짝 놀라곤 한다.
왜??? 이렇게 시간이 모자른 거지?
가장 긴장감이 심한 수능 1교시 국어 시험의 시간은 80분, 초로 환산하면 4800초이다.
시험에서의 1초는 중․고등학교 6년간을 수험생활로 따져본다면 평소 약 2일간의 학습량에 맞먹는다. 이를 생각한다면 시험에서 단 1초라도 쓸 때는 제대로 쓰고 아낄 때는 제대로 아끼려는 경제적인 문제 풀이의 비법이 필요하다.
지문을 보기 전에 정답을 70∼80% 이상 확신했다면
A:적절한 표시를 해두고 다음 문제로 넘어간다. 그리고 문제를 모두 푼 후 남는 시간을 통해 표시를 해둔 문제를 우선 순위로 다시 본다. 남들보다 시간을 절약하여 빠르게 문제를 풀었다는 심리적 경쟁력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쟁력은 다음 문제도 긍정적인 마인드로 풀 수 있게끔 이끌어 준다. 그리고 절약된 시간만큼 어려운 문제를 다시 확인해 볼 여유를 가질 수 있다.
B: 지문까지 꼼꼼히 확인해 100% 로 답을 확신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간다. 왜냐하면, 답을 100%로 확신하지 못한 채 넘어가면 이전 문제에 자꾸 미련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A 방법처럼 나중에 다시 확인할 시간을 아예 처음 문제 접할 때 다 사용하는 것이 문제 풀이에 있어 집중의 효과가 있다.
자신은 어떤 스타일로 문제를 풀고 있는가? 평소 학교나 집에서 문제를 풀 때가 아니라, 고도의 심리적 부담감이 있는 실제 수능에서를 말한다. 위의 두 가지 스타일 다 장ㆍ단점이 있고 일반적인 문제 풀이 방법은 당연히 B 방법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시험의 기술을 위한 것은 당연히 A 방법이거나 둘을 혼합하더라도 A의 비중이 더욱 커야 한다.
수험생의 능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문제의 답을 100%로 확신한다고 해서 다 맞추는 것은 아니다. 이는 수험생 나름의 확신일 뿐이다. 그래서 남들보다 빠르게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심리적 경쟁력이 남들과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100% 답을 확신하는 심리적 안정감보다는 이득이 된다.
수능 국어는 시간 컨트롤 능력이 굉장히 중요한 시험이다. 많은 수험생이 시간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마지막 몇 문제는 답의 확신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찍어버리는 경우도 많다. 시간이 부족하다는 생각은 심리적 위축을 가져와 평소에 알던 지식도 뇌에서 활성화 시키지 못한다. 반대로 시간이 넉넉하다는 생각은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가져와 평소 실력보다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평소에는 위의 B 형태로 공부하다가 모의고사나 실제 수능 때에는 시험의 기술적 방법인 A형태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한다.
칼럼 요약:
1) 최소 시험 한달 전부터는 모의고사를 통해 심리를 다스리는 연습도 해야한다.
2) 평소에는 답을 100% 확신하면서 문제를 푼다.
3) 모의고사나 실제 시험 때는 70∼80% 답을 확신 하면 다음 문제로 넘어가자.
문제를 다시 보면 전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 보일 때가 있다.
4) 평소에 긍정적인 태도와 자신감 있는 마음가짐도 중요하다.
끝.
'좋아요 총 100개 이상'의
지난 칼럼 1탄: http://orbi.kr/0005946534
지난 칼럼 2탄: http://orbi.kr/0006012324
지난 칼럼 3탄: http://orbi.kr/000602619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도쿄구울 정주행 때리고 저녁에 일찍 자야지
-
잠와서 머리아파 3
근데 자기 싫음 ㅅㅂ
-
카페인 먹었더니 2
잠을 잘 수 없네
-
동생은 제가 감당 못할듯..
-
인간적으로 순공 0
아니 8 to 10 하면서 순공시간 12시간이 가능함? 같은 학교 애가 맨날 이만큼...
-
왜탈릅함 9
-
헬스 갔다와서 17시간 죽은듯이 잤음 개운하구만
-
건너지 말라면 마세요.. 저 걷다가 얼어서 낙오될 뻔했어요
-
오노추 6
다즈비 - 초계반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넵. 아이고 글 언제 다미냐 일단 갔다와서 생각해야지
-
다래끼 난거같다 2
눈이 가려워서 계속 긁다가 거울 봤는데 눈이 빨갛게 부어오름 계속 가려움
-
저도 태두리 바꿔보고싶어요
-
달의루나 7
이거닉변할까이쁜데
-
25는 눈알 굴리기로 되는데 나머진 무조건 하나 이상 틀렸음.. 너무 어려워
-
달 진짜 예쁘네요 12
멍커보여요 보름달이었으면 더 예뻤을텐데
-
천만덕 가쥬아
-
다시 봐볼까 넷플에 있으려남
-
그동안 정신은 지쳤고 뭔가를 시작하기에(ex 재수) 현실적 문제들 생각하면 엄두가...
-
생각할수록 한없이 우울해지네
-
풀건 풀이같은게 있네요 지금보니까 글렀던것 같기도하고 사환시 예비 9번받고 떨어짐 ㅎㅎㅎ
-
우리는 결국 죽게 될 것이고, 각자 자율적인 육체의 고독 속에 갇혀 있으며, 시간은...
-
내전끝 5
피곤해 죽겠는데 돈까지 잃었네 하..
-
얼버기 12
깊은 새르비 오르비언들 안녕하세요
-
카페인과 험께
-
이번에 반수해서 학교 자퇴하려고 교수님한테 상담날짜 정하려고 문자드렸는데 문자를...
-
에휴이
-
기차지나간당 2
부지런행
-
앞으로도 이렇게 진행하는 것도 괜찮을지도
-
반박 안 받아요
-
성적 자랑 마구해야지
-
라면 불올림 4
-
자고싶어 8
살려줘
-
일단 난 콘서타에서 좀 충격먹음
-
ㅇㅇ..
-
수면패턴 정상화 필요
-
거기 재개발 이슈 있다고 아빠가 엄청 관심있어 하던데
-
재독 가는게 나한텐 샤벽에 일어나서 피똥쌀 일인가 ㅅㅂ 원래 하루에 순폰 4...
-
주식 한번 물려보면 됨 세계 모든 경제상황을 알 수 있게 돼요 ㄹㅇ
-
할복. 4
-
올해 인문지문 첫번째부터 쉽지 않더라 ㅋㅋ
-
괜찮은 지문들도 많구 실생활에서 알아두면 좋아보이는 것도 진짜 많구 (가)환율변동에...
-
먼저 팔로우걸기가 겁나네 왕소심맨
-
개같이실패ㅋㅋ
-
오늘학교가야되네 0
지옥철진짜싫다
-
100덕 드림
-
왜 뜬지 모르겠는 순혈 담뇨단 교주임
-
얼버기 2
산책가려고 했는데 추워서 침대에 누워있다가 기절하고 이제 일어남
-
2025학년도 사관학교 영어 1차 시험 기출문제 3번 문장별 분석 0
2025학년도 사관학교 영어 1차 시험 기출문제 3번 해설 ( 선명하게 출력해서...
-
메가스터디 수능 한국사하다가 한검능으로 넘어갔네...
-
경제 적당히 어려운 지문 법 적당히 쉬운 지문 논리학 가나형 킬러 문학 불 질러놓기...
수능때 화작문부터 말고 부드러운 문학부터 푸는 것 어떻게생각하세요?
전 비추... 아무래도 문학이 허용하는 단어의 범위랑 화작과 비문학이 허용하는 단어의 범위가 다르다는 박광일 선생님의 말씀이 인상깊어서... 실제로 그렇기도 하고요
광일티쳐 짱
와 ㅋㅋㅋ 네1아에서 하셧던말씀... 인상깊음
진심 꿀팁인 듯 하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비문학-문학-문법-화작 순으로 푸는데 어때요?
이분 칼럼 추천글에 안올라왔으면 좋겠다
왜요?
이번칼럼은 정상적인데
이전칼럼들은 요새 아무도 추종하지않는 야매덩어리들
야덩인가요?
걍 순서대로 푸는데 ㅎ 그게 익숙함
제 주관적인 소견을 덧붙이자면... 화작이라는 것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이용해 문제를 푸는것이고 비문학은 그보다 좀 더 심화?라 해야하나요 어찌됏든 비문학적인 요소를 일상생활에서 잘 접하진 않잖아요 그래서 사고의 확장이 한번 일어나고 솔직히 우리가 시쓸꺼아니잖아요 ㅋㅋㅋㅋ 문학적인 걸 일상적으로 접하는게 아니니... 마지막으로 문학에서 사고의 확장이 한번더 일어나니깐 순서대로 푸는게 젤 좋을꺼 같아요 ㅋㅋ 문법도 보기를 읽고 풀수 있으니 예비 비문학의 형식 정도로 생각하고 퓰고요 라고 수X휘에서 말하면 다들 근데 전 문학부터 푸는게 편한데요ㅠㅠ라고 합니다
진심 이거 ㄹㅇ 입니다 이거 격공하고 이번에 잘쳤어요ㅎ 감사합닏ㄱ·